해남 공동화 우려 높은데
정치권에 맡겨진 운명

 

 광주~완도 간 고속도로 사업예산이 대폭 줄어든 가운데 지역공동화를 부추기는 해당 고속도로의 필요성에 대한 찬반이 끊이질 않고 있다. 해남지역에 당장 피해가 예상되는데도 간담회 한번 열지 않고 추진하는 모양새다. 특히 이 고속도로는 김영록 전 국회의원에 이어 윤영일 의원의 공약사항이다. 
해남지역 경제에 미치는 분석조차 없이 정치권에 맡겨진 사항이다.
광주~완도 고속도로는 광주와 전남도 서남권을 잇는 사업으로 지난 2014년 1단계 구간인 광주~강진 구간을 조성하면서 본격화 됐다. 
광주 서구 벽진동 2순환도로에서 시작해 강진군 성전면까지 총 51km 구간으로 2024년 완공할 계획이다. 이와 동시에 광주서구 ~강진~해남~남해안 구간도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해당 구간은 4차로 69km 길이로 추정 사업비는 1조4600억원에 이르는 대규모 사업이다.
하지만 광주~완도 간 고속도로는 올해 국비 1398억원이 반영된 것에 비해 내년에는 455억으로 1/3 수준으로 급감했다. 액수로는 무려 943억원이 줄어든 것이다.
이로써 광주~완도 간 고속도로가 완공 시기는 더욱 늦춰질 전망이지만 아직도 지역 내에서는 지역 공동화를 염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해남은 해남 중앙을 관통하는 4차선 도로로 지역 상권 붕괴를 생생히 경험했다.
특히 50년 가까이 북적이던 남창장은 직격탄을 맞았다. 4차선도로 옆 구 길에는 풀만 무성히 자란 폐점한 식당과 주유소만 남았다. 
이러한 우려와 달리 광주~완도 간 고속도로의 개발은 완도군의 최대 숙원사업이기도 하다.
전남지역 최대 유통망인 광주로 가는 거리가 단축되면 연간 1200억원의 경제적 이득은 물론 제주도로의 접근성을 기반으로 농수산물의 수도권 유통망을 뚫기에도 용의한 이점을 가져온다는 이유이다.
그렇다면 해남군은 어떠한가.
해남 읍내 상권 소비자의 20% 이상은 외지 강진, 완도 등에서 온 소비자들이다. 고속도로의 개통은 이러한 소비자 반출로 이어지고 열악한 해남의 상권구조에 또다시 자본유출이란 결과를 낳게 된다. 
해남은 더 이상 머물러 쉬어가는 곳이 아닌, 그저 스쳐 지나가는 풍경에 그치는 셈이다. 
완도 군민의 염원과 이에 반응한 정치인의 약속에서 시작한 광주~완도 간 고속도로, 정작 해남군은 이번 사업의 중심에 있으면서도 변변한 목소리조차 못 내고 있어 답답함은 더욱 크다.
제2의 남창장과 같은 심각한 공동화로 이어질 수 있다. 많은 지자체가 도로의 발달로 벌어지는 지역공동화에 대한 대책을 마련코자 하지만 사실상 마을이 쇠락해가는 과정은 바라볼 뿐이다. 그렇다고 해남군 역시 방관자적 입장에서 바라만 봐야 하는지 생각해 볼 문제다.                      
 

저작권자 © 해남우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