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버스대수 늘리고 1200원으로 어디든 간다

 

 

교통복지 확대, 친절한 대중교통 이미지 개선노력
한편에선 버스준공영제 혈세낭비 지적도 여전

▲ 제주 대중교통체계 개편의 핵심인 중앙로 중앙우선차로제, 급행버스 개통으로 관광객에게 큰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30여 년 만에 전면 개편된 제주도 대중교통체계가 지난해부터 본격적인 시행에 돌입했다.
제주는 밀려드는 인구와 관광객으로 서울 시내 만큼 혼잡한 곳이다. 실제 제주도에 등록된 차량은 2016년 기준 35만2000대로 해마다 7%가량 늘어나는 추세다. 자동차 보유 대수도 1인당 1.37대로 전국 최고 수준이다. 더욱이 렌터카와 불법주정차, 교통 체증 등 다양한 문제가 동반되면서 제주의 교통혼잡비용은 5000억 원에 다다를 것이라는 한국교통연구원의 발표도 있었다.
이에 제주도는 지난해 8월, 30년 만에 대중교통체계를 개편했다.
처음 시도되는 제도들이 많아지면서 시범운영 당시 수많은 시행착오가 발생했지만 7개월이 지난 지금은 더 빨라지고 저렴해진 대중교통에 주민들의 교통복지가 향상됐다는 평가다.
우선 제주도는 대중교통 우선차로제를 도입해 대중교통 통행이 더욱 수월하고 빨라졌다.
우선 대중교통 우선차로제로 도심권 대중교통 통행이 더 빨라진다. 급행버스를 도입해 목적지까지 어디나 1시간 내외로 이동 가능하게 했다.
또한 버스를 530대에서 880대로 증차하면서 배차간격을 줄여 교통불편지역 해소에도 일정부분 기여했다.
관광도시에 맞게 버스정류장의 편의를 극대화했다.
정류장에는 온열의자와 비상벨, 무료와이파이, CCTV, 비상벨 등을 제공하고 버스정보 시스템을 이용자 위주로 전면 개편했다.
이와 동시에 대중버스 운전자에게 서비스 교육을 지속적으로 실시해 그동안 불친절한 대중교통이라는 인식을 전환하고 안전하고 친절한 대중교통이라는 인식전환에 앞장서고 있다.
무엇보다는 요금적인 측면에서 주민들에게 다가가는 혜택이 커졌다.
새롭게 시행되고 있는 대중교통체계는 제주 전지역을 1200원으로 이동이 가능해 누구나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70세 이상 어르신 등을 위한 요금면제 범위도 확대했다. 또 교통카드의 환승 할인 가능 시간도 40분으로 기존 30분에서 10분을 늘려 할인 적용 폭을 넓혔다.
하지만 일부 구간은 큰 변화를 체감하지 못하고 있다. 중앙차로제 구간이나 가로변차로 구간 모두 교통량이 유달리 많은 곳이라 당초 기대하는 것과는 달리 버스통행속도가 개선이 더딘 현상을 보였다. 이 같은 이유는 주민들의 참여가 적극적이지 못하면 중앙차로제 같은 경우 더욱 혼란을 부추겼기 때문이다.
제주도 관계자는 “대중교통개편을 조기에 종착시키기 위해 가변로차로 불법주정 집중 단속을 실시하고 있지만 상가들의 반발과 주민들의 교통의식 부족으로 일부구간이 몸살을 앓고 있다”며 “특히 가로변차로 구간인 제주국립박물관 인근 11.8㎞의 경우 50% 이상, 많게는 70%까지 이면도로와 인접해 있어서 들고나는 일반차량과 접촉사고 위험이 많아 개선을 요구하는 의견도 접수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자영업자가 많은 제주의 특성상 자가용 운전자들도 제도의 조기정착을 위해 대중교통전용차로제 운영에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즉 차량이 가장 몰리는 중앙로나 공항 주변, 신제주로터리와 신광로터리 구간, 도령로 등 주요도로는 행정의 힘만으로는 개선이 역부족이며 도민들의 참여와 협조가 더욱 절실하다는 것이다.
제주는 대대적 교통체계 정비가 시작된 지 5개월 뒤인 지난 2월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대중교통 현황조사에서 대중교통 이용자 만족도 전국 1위를 기록했다. 지표상으로는 일단 성공적이라는 평가가 따랐다.
하지만 버스 준공영제의 경우 개편 후 1년이 다 돼가도록 논란거리로 남아있다.
버스 준공영제는 제주특별자치도가 도내 7개 버스업체들의 적자 보전을 통해 적정 수입을 보장해주는 대신 교통 취약지역에 노선을 증차하고, 요금 인상을 억제하는 관리·감독 권한을 갖는 제도다.
제주도는 제주특별법에 따라 권한을 이양받은 도시교통정비 촉진법에 근거해 택시와 36인승 이하 전세버스 등을 대중교통 우선차로제 대상에 포함시켜 운영 중이다.
하지만 국토교통부에서는 버스전용차로의 경우 36인승 이상 버스와 어린이 통학버스 등으로 한정하고 있기 때문에 도로교통법과 맞지 않아 시행할 수 없다는 입장에 있다.
이어 연간 955억원을 투입시켜 노선·요금 조정, 운행관리 전반을 감독하는 버스 준공영제가 너무 성급하게 출발하면서 퍼주기식 민간 버스업체 지원으로 전락했다는 평가도 따르고 있다.
이는 당초 산정했던 855억원에 비해 140억원(16%)이 증가한 재정지원금에 따른 재정 부담과 함께 2020년에는 임금 및 유가 인상과 버스 보험료 증액, 감가상각비 등 실제 지출비용을 산정 결과 1200억원을 버스업체에 지원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이 같은 결과는 버스대수를 59% 늘렸지만 이용객은 11%가량 느는 데 그쳤기 때문이다. 버스대수에 비례해 이용객이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비껴가면서 지원금이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상황에 이른 것이다. 
제주도는 교통체제를 정비하고 교통복지를 확대하면서 관광객과 일부 주민들에게는 큰 혜택을 주고 있지만 정작 전체도민들에게는 혈세낭비라는 지적을 피하지 못하고 있다.
                 

 

김유성 기자/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 지원을 받았습니다. 

저작권자 © 해남우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